Published on

Fiber와 Suspense의 비동기 처리 메커니즘 톺아보기

React 혹은 Next를 사용해서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심심치 않게 Suspense 컴포넌트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 나 또한 Suspense와 관련된 주제를 두 차례 포스팅했던 경험이 있을 정도로 제법 낯익다.


Suspense 관련 지난 포스팅


Suspense 구현 코드를 살펴보게 된 계기?

개인적으로 Suspense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생각하는 세트 메뉴 Error Boundary 컴포넌트를 구현하고 사용하며 의문이 하나 생겼다.

Error BoundarySuspense와 달리 특이하게 React에서 별도의 내장 컴포넌트로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구현이 필요하다.

그리고 Error Boundary를 직접 구현하기 위해서는 함수형 컴포넌트의 hook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Class 컴포넌트 형태로 구현이 필요하다.



이는 자식 컴포넌트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감지하고, 처리하는 getDerivedStateFromError, componentDidCatch 두 메서드가 아직 Hook으로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Suspense는 직접 구현해 본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어떻게 자식 컴포넌트에서의 Promise를 감지하고 처리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관련 자료를 찾아본 결과, Suspense는 React 내부에서 다양한 모듈과 함수로 구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내가 궁금했던 Promise와 관련된 내용은 이미 잘 정리된 글이 있었다.


Suspense의 Promise Catch 관련 포스팅


위 포스팅을 통해 처음에 궁금했던 부분은 어느 정도 해결되었고 문득, Suspense 컴포넌트가 어떻게 동작하고, 처리되는지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React GitHub에서 많은 파일 중 ReactFiberSuspenseComponent.js를 통해 Suspense 동작에 대한 코드를 살펴볼 수 있었다. 주석을 포함해도 생각보다 코드가 그렇게 많지는 않다. Fiber에 관한 내용이 밀접하게 포함되어 있었다.


ReactFiberSuspenseComponent.js


실험적인 코드, 정의 후 현 파일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코드가 생각보다 적지 않게 존재하기 때문에, 주요 코드 위주로 살펴보게 되었다.

1번 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듯, findFirstSuspended 함수Fiber 타입의 row를 매개 변수로 받는 것을 볼 수 있는데,

Fiber 사용 이유는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알고리즘 구조를 사용해 Fiber 트리 구조를 검색하고, 업데이트나 렌더링 시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함인 것 같다.

React는 컴포넌트를 Fiber 구조로 변환해서 관리하고, 이 Fiber들이 모여 Fiber 트리라는 구조를 이루는데, 여기서 row(node)는 그 탐색을 시작할 노드를 의미하며,

row부터 시작해서 반복적(while)으로 해당 노드의 자식 또는 형제 노드로 탐색을 진행하며, 비동기 작업(Suspense 활성화 상태) 중인 컴포넌트를 찾아낸다.

즉, findFirstSuspended 함수는 트리 구조를 순회하며, 비동기 작업이 진행 중인 컴포넌트를 찾고, 반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이 단계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는데, 다른 아티클이 없어서 GPT를 사용해 내용을 이해하고 방향을 잡을 수 있었다.

tag 속성을 이용해 노드가 SuspenseComponent(Suspense 컴포넌트)를 의미하는지 확인하고, true일 경우 조건문 내부의 다음 로직을 수행하게 된다.

<Suspense fallback={<Loading />}>
  <AsyncComponent />
</Suspense>

SuspenseComponent는 위 코드에서 Suspense 컴포넌트를 의미한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그리고 React의 Fiber 구조에서 특정 컴포넌트의 상태, 효과(Hook에서 관리하는 값) 또는 렌더링 된 결과 등을 저장하는 속성인 memoizedStatestate 변수에 대입하게 되는데,

이때, state 값이 null일 경우 비동기 작업이 진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Suspense가 동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음 코드를 살펴보면, dehydrated 속성이 있는데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SSR dehydration과 관련이 있는 속성이다. CSR에서는 당연히 dehydration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null 값을 가지게 되고, 조건을 통과해 해당 node가 반환 된다.


조건 설명

- dehydrated가 존재할 때 (서버에서 이미 비동기 작업이 끝난 상태)

서버에서 미리 렌더링 된 상태이므로, 클라이언트에서 Suspense를 작동시키지 않고, 이미 존재하는 HTML을 재사용(즉, hydration) 한다.

- dehydrated === null 일 때

서버에서 미리 렌더링 된 상태가 아니거나, 클라이언트 측에서 새로운 비동기 작업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때 Suspense가 동작하게 된다.

- isSuspenseInstancePending(dehydrated)

비동기 작업이 진행 중인 상태인지 확인하는 함수

- isSuspenseInstanceFallback(dehydrated)

Fallback UI(대체 UI)가 렌더링 되고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함수


이 단계에서 한 조건이라도 해당된다면(비동기 작업이 활성화된 상태), node(비동기 작업이 대기 중 또는 fallback UI가 렌더링 되고 있다면 그 노드)를 return 하게 된다.


SuspenseListComponent (SuspenseList) 같은 경우 현재 실험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인 관계로 해당 포스팅에서는 제외한다.


- node.child !== null

현재 노드가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자식 노드가 없으면 이 조건문은 실행되지 않고 다음 조건으로

- node.child.return = node;

자식 노드의 return 속성에 현재 노드를 저장 -> 여기서 return 속성은 부모 노드를 참조하는 역할로, 자식 노드가 자신의 부모 노드 기억

- node = node.child;

현재 탐색 중인 노드를 자식 노드로 변경 -> 트리에서 자식 노드로 이동

- continue;

현재 반복을 종료하고, 다시 루프의 처음으로 돌아가서 자식 노드를 탐색하는 과정을 계속 진행


- 현재 노드가 row와 동일할 때

row는 처음 함수가 호출될 때 전달된 노드(탐색의 시작점)이다. 즉, 더 이상 탐색할 노드가 없기 때문에 종료하고 null을 반환한다.


sibling 속성에서 눈치챌 수 있듯이 형제 노드와 관련이 있다. 형제 노드가 없을 경우에는 부모 노드로 올라가야 한다. 하지만, 만약 부모 노드가 없거나 처음 탐색을 시작한 노드(row)와 같다면 탐색을 종료한다.

이외에 경우는 부모 노드로 이동하며 트리 상위로 계속 이동하면서 형제 노드를 찾는다. 형제 노드를 찾으면 형제 노드에 부모 노드를 연결하고, 탐색을 형제 노드로 이동해 계속해서 진행하게 된다.


정리

- findFirstSuspended 함수

Fiber 트리를 순회하며 비동기 작업으로 인해 대기 중인 첫 번째 Suspense 컴포넌트를 찾아 반환하면, 이를 통해 React는 어떤 컴포넌트가 로딩 중인지 판단하고 fallback UI를 표시한다.

- Fiber 트리

React는 컴포넌트를 Fiber 구조로 관리하며, 각 컴포넌트의 상태와 업데이트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Suspense 컴포넌트는 이 Fiber 트리를 통해 자신의 비동기 상태를 추적하고 관리한다.


마치며

처음 Fiber에 대한 내용을 학습할 때 사실 크게 와닿지가 않았던 기억이 있다. 단지 내부적인 동작 원리라는 인식 정도만 하고 넘어갔는데, 이번에 포스팅을 작성하며 당시에 학습하며 봤던 tag, return, sibling 등의 낯익은 속성들이 코드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Error Boundary를 직접 구현하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는데,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는 또 다른 방향으로 견문을 넓힐 수 있었다. React 내부에서 동작을 실전으로 확인하고, Fiber에 대한 조금의 선행 지식이 주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하나둘씩 지식이 쌓이며 성장하는 부분도 좋지만, 과거의 지식 퍼즐과 맞춰지면서 성장해 나아가는 과정도 큰 즐거움이 되는 것 같다. 앞으로도 배우고 알아가며, 오늘의 경험이 또 다른 퍼즐의 연결 고리가 될 것이다. 더 많은 연결 고리를 만드는 것이 앞으로의 숙명일 것 같다.

다만, 이번 포스팅에서 마음이 걸리는 부분은 정확한 레퍼런스 없이 GPT의 힘을 빌린 부분이다. 이에 대해서는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다른 비슷한 아티클과 코드 주석을 참고해 간극을 메우기 위해 노력했다. 다행히도 코드 자체에 큰 이견이 발생할 만한 부분은 없는 것 같다.


혹여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 혹은 메일 부탁드립니다. 🙇🏻‍♂️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