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blished on
React Query 사용 여부에 대한 고민 + 성능 최적화 - ( with. Next 프로젝트 )
현 프로젝트에서 React Query를 꼭 사용해야 할까?
지금껏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빠짐없이 사용할 만큼 React Query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개발을 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했다.
그리고 이번 우연히 프로젝트 또한 자연스럽게 적용하게 되었는데, 성능 최적화를 진행하던 중, 문득 React Query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이와 같이 고민하게된 이유는 크게 2가지인데,
프로젝트의 성격
지방적 사고 프로젝트 같은 경우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이 아닌 일회성 컨텐츠를 제공하고, 적은 개수의 API와 캐싱이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가 요구된다.
또한 무한 스크롤, 페이지네이션도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딱히 React Query를 사용한다고 해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생각했다.
물론 React Query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게 된다면 더 간단하게 서버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큰 차별점이 없다고 판단해 React Query를 사용하지 않고 42 KB의 실리를 추구하는 쪽으로 노선을 정했다.
Next 서버 컴포넌트 & 서버 렌더링의 이점
서버 렌더링을 진행하게 되면, 성능 부분에서의 이점을 가질 수 있게 되는데, 서버 컴포넌트는 그 자체로 React Component이기 때문에 JS 번들과 상관없이 브라우저에서 컴포넌트로 사용된다.
즉, JS 번들 크기를 줄였으므로 FCP, TTI를 포함해 전체적인 성능 개선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서버 렌더링 자체에서 동일한 요청을 할 경우 기존 캐싱 된 결과를 재사용해 렌더링 및 페칭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캐싱의 아쉬움을 어느 정도 달랠 수 있을 것이다.
React Query -> 서버 렌더링 방식으로 변경하기 ( 코드 )
대중교통수단 선택 페이지에서 예시로 리팩터링을 진행할 예정이다. 주 목표는 React Query로 진행하던 교통수단 리스트 데이터 페칭을 서버 컴포넌트를 활용해 서버 렌더링 방식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기존 코드
TransitRouteSection.tsx
'use client'
import Loading from '@/shared/@common/ui/Loading'
import LocationInputGroup from '@/shared/@common/ui/LocationInputGroup'
import TransitList from './TransitList'
import { useGetTransitList } from '@/shared/provincial/api/queries/useGetTransitList'
const TransitRouteSection = () => {
const { transitList, isLoading } = useGetTransitList()
const locationState = {
origin: transitList?.origin ?? '',
destination: transitList?.destination ?? '',
}
if (isLoading) return <Loading />
return (
<section>
<LocationInputGroup locationState={locationState} type="view" />
<TransitList transits={transitList?.transits ?? []} />
</section>
)
}
export default TransitRouteSection
useGetTransitList.ts
import { useQuery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 useCookies } from 'next-client-cookies'
import { getTransitData } from '@/actions/transit'
import {
ITransitRouteResponseProps
} from '@/shared/@common/types/transitRoute.types'
export const useGetTransitList = () => {
const cookies = useCookies()
const userId = cookies.get("userId")
const { data: transitList, isLoading } =
useQuery<ITransitRouteResponseProps, Error>({
queryKey: ["transitList", userId],
queryFn: () => getTransitData(Number(userId)),
enabled: !!userId,
staleTime: 1000 * 600,
gcTime: 1000 * 700,
throwOnError: true
})
return { transitList, isLoading }
}
개선 코드
TransitRouteSection.tsx
import LocationInputGroup from '@/shared/@common/ui/LocationInputGroup'
import TransitList from './TransitList'
import { fetchTransitList } from '@/shared/provincial/api/fetchTransitList'
const TransitRouteSection = async () => {
const transitList = await fetchTransitList()
const routeAddresses = {
origin: transitList.origin,
destination: transitList.destination,
}
return (
<section>
<LocationInputGroup routeAddresses={routeAddresses} type="view" />
<TransitList transits={transitList.transits ?? []} />
</section>
)
}
export default TransitRouteSection
fetchTransitList.ts
import { cookies } from 'next/headers'
export async function fetchTransitList() {
const userId = cookies().get('userId')?.value
const res = await fetch(
`${process.env.NEXT_PUBLIC_BASE_URL}/api/transit?userId=${userId}`
)
const data = await res.json()
return data
}
- TransitRoutes 컴포넌트는 서버 컴포넌트 page.tsx 하위에 위치한 폴더로 우선 이 컴포넌트를 서버 컴포넌트로 변경하기 위해 React Query 관련 로직을 포함한 hook을 걷어낸다.
- fetch를 이용해 교통수단 리스트를 페칭하는 로직을 작성한다.
리팩터링을 진행하고 나서 코드와 결과물을 살펴봤을 때 React Query를 적용했을 때와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느꼈다. 프로젝트의 규모가 작다 보니 이 부분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 같다.
그러나 이 결과가 lighthouse로 측정해 봤을 때 작은 성과가 있었기 때문에 소기의 목적은 어느 정도 달성했다고 생각한다.
성능 최적화
기존 lighthouse 성능 점수
lighthouse를 사용해 초기 성능 점수를 측정했을 때, 생각보다 낮은 것을 발견하고 조금 당황스러웠다. 나름 기존에 진행해 왔던 최적화 작업을 개발 중에 적용하였음에도 80점이라는 점수가 나왔기 때문이다.
lighthouse와 WebPageTest 사이트를 이용해 원인을 분석한 결과 빠르게 원인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문제의 원인은 바로 폰트였다.
그동안에는 Next에서 제공하는 next/font/local를 사용해 폰트를 자동으로 최적화 및 관리하고 있었다. 다만, 최적화 외에 평균 700 kb의 폰트 파일이 나에게는 눈엣 가시처럼 남아있었다.
그리고 역시나 이 폰트의 크기가 문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미지의 형식을 변경해 크기를 줄이는 방법은 알고 있었지만, 폰트 경량화 경험은 없었기 때문에 여러 레퍼런스 탐구 및 경량화 시도가 필요했다.
폰트 서브셋 경량화
폰트 경량화를 위해 선택한 방법은 바로 폰트 서브셋 경량화 작업으로, 전체 폰트 파일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문자만을 포함한 작은 크기의 폰트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해하기 쉽게 요약하면, 내가 필요한 문자 가
, 나
, A
, 1
과 같은 문자 외에 끾
, 꾺
등 사용하지 않는 문자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서브셋 폰트 메이커
서브셋 경량화를 위한 첫 시도로 일본어로 제공되는 서브셋 폰트 메이커 서비스를 사용해 보게 됐는데, 서브셋 경량화는 정상적으로 진행됐으나 글자 깨짐 현상이 발생했고, 적용을 취소했다.
제공되는 subset 폰트 파일 사용하기
내가 적용하고자 했던 폰트는 바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리텐다드(Pretendard) 폰트였는데, 총 4개의 폰트 중 3개(Bold, Light, Regular)를 차지할 만큼 성능 개선이 가장 중요한 폰트 파일이었다.
기존 프로젝트를 리팩터링한 관계로 자연스럽게 폰트 파일도 따로 다운로드하지 않고 사용하게 되었는데, 알고보니 Pretendard 폰트를 다운로드 할 경우 subset 폰트 파일을 이미 제공하고 있었다.
여러 시도를 하던 중 운 좋게 woff2 subset 폴더를 발견할 수 있었고 글자 깨짐 없이 Pretendard 폰트 파일 경량화를 이룰 수 있었다.
남은 하나의 폰트인 런드리컴퍼니 폰트같은 경우 기존에 woff 형식으로 사용하고 있던 폰트 파일은 서브셋 파일이 따로 제공되지 않는 관계로 woff2 형식으로 변경해 주었다.
런드리컴퍼니 폰트는 서브셋 파일을 사용할 수 없어 아쉽지만, 200 KB라는 나름 내 기준에서 허용되는 크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해도 괜찮을 것 같다고 판단했다.
- 서브셋 파일이 없다면, 최대한 woff2 형식으로 폰트 파일 크기를 경량화해서 사용하자
- 서브셋 파일에 입력받은 텍스트가 없을 수도 있다는 부분도 조금은 염두해 둘 필요가 있다.
성과
기존 폰트 파일의 크기를 합치면 약 2.5M라는 무시할 수 없는 큰 크기를 가지게 된다. 서브셋 파일을 사용하게 될 경우 약 1M 정도의 크기를 가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약 1.5M 정도를 경량화했다고 볼 수 있다.
작업 후 lighthouse 성능 점수
이제 React Query 로직과 라이브러리를 서버 컴포넌트로 리팩터링하고, 폰트 경량화를 진행한 결과를 lighthouse에서 지표를 확인해 보면 LCP는 약 1.5초를, SI 같은 경우 0.5초를 최적화했다.
위 사진 하단(트리맵 보기 아래)을 보면, 렌더링 되는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사진의 크기가 작긴 하지만 성능 최적화 전과 후의 사진을 비교해 보면 더 시각적으로 최적화 작업 진행 결과를 체감할 수 있다.
최적화 전
- 본 페이지 데이터 페칭 지연으로 인해 구역에서 약 3칸을 fallback Loading UI(작게 보이는 기차 이미지)가 차지하는 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최적화 후
- 서버 렌더링의 이점 + 폰트 경량화로 Loading UI가 3칸을 차지하던 전에 비해 빠르게 화면이 렌더링 되는 것(Speed Index)을 볼 수 있다.
이로써 4개의 항목에서 모두 상위권 점수를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마치며
현재 프로젝트 한정으로 React Query가 나에게는 계륵처럼 느껴졌다. 무언가 필요하지 않은 것 같은데 막상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머릿속에서 대립됐기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이번에 리팩터링을 진행하며 현재 프로젝트에는 필요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 직접 부딪혀보니 전보다 더 빠른 화면 렌더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lighthouse라는 지표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Next와 React Query를 공존해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고민은 예전에도 경험했었고, 여전히 많은 의견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주관적인 나의 생각은 Next의 캐싱 기능이 존재하지만, 여전히 React Query에서 제공하는 매력적인 기능들을 완전히 대체하기에는 직접 사용해 보며 부족하다고 생각했고, Next를 사용할 때 거의 React Query를 사용하는 편이다.
이번 계기를 요구사항에 적합한 기술 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분에서 아쉬움이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번 경험을 통해 데이터를 쌓았고, 향후에 같은 상황에 놓인다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이와 관련해서 성능 최적화 견문을 넓힐 수 있었다. 비록 코드 개선을 통해 폰트 파일 최적화를 이루어낸 것은 아니지만, 만약 서브셋에 대한 개념을 몰랐다면,
폰트를 다운로드했을 때 자연스럽게 서브셋 woff2 폴더가 아닌 woff2 폴더를 선택했을 것이다. 그동안에는 woff2 형식과 next/font/local을 너무 신뢰해 불필요한 곳에서 성능 누수가 많이 발생한 것 같다.
이외에도 gif 형식을 mp4, webm 형식으로 변경하는 시도를 해봤는데, 투명한 gif 배경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브라우저별(크롬, 사파리) 이슈가 발생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할 것 같다.
여러 최적화를 진행해 보며, 다양한 최적화 방법이 존재하고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고, 진행 과정에서 최근 면접에서도 많은 질문을 받았던 크로스브라우징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고 신경 쓸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