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blished on
Suspense를 사용해 네트워크 폭포 현상을 병렬처리로 개선하기
최근까지 진행했던 라임 프로젝트가 종료되면서 내가 작성한 코드에 대해 충분히 고민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생겼고, 어느 정도 마무리 작업을 마친 뒤에 곧바로 리팩터링 진행을 진행했다.
투표 페이지에서는 주로 모달/시맨틱 작업을 진행했고, 이번 포스팅 대상인 아이템 상세 페이지의 경우 다른 기능과 동일한 작업 + 네트워크 폭포 현상 개선 작업을 최우선 목표로 선정했다.
📌 기존 아이템 상세 페이지
기존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패칭하는 비동기 api 요청에서 응답받은 정보(아이템명, 가격, 아이템 id 등등)가 리뷰 컴포넌트에서 사용됨
따라서, 리뷰 영역을 1 ( 아이템 정보 영역에 하위 컴포넌트 )로 배치해 props로 데이터를 전달
📌 문제점
1. 좋지 않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빠르게 화면이 렌더링 돼서 명확한 확인이 어려울 수도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아이템 정보 영역이 우선 렌더링 된 후에 리뷰 영역이 렌더링 되며 스켈레톤 UI가 노출된다.
아이템 정보 영역 하위에 리뷰 영역이 위치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폭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폭포 현상으로 인해 부분적인(아이템 -> 리뷰 렌더링) 화면 렌더링이 진행되는 부분이 나쁜 사용자 경험을 줄 수도 있다.
💡 뒤늦게 렌더링 되는 리뷰 영역이 기존 아이템 영역과 대비되어 렌더링이 거슬리게 보일 수 있다.
2. 총 요청 소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아이템 상세 정보 요청 (3), 리뷰 데이터 요청 (review?itemId~) 두 데이터 패칭 같은 경우 네트워크 폭포 현상이 발생해 순차적으로 진행되게 되고, 총 약 127 밀리초의 시간이 경과된다.
📌 Solution
우선 컴포넌트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기존
ItemDetailView
컴포넌트 하위에 있던ReviewSection
컴포넌트를 같은 계층에 위치시켜 주었다.각각의 데이터 패칭 같은 경우 비동기 요청이기 때문에 완료되는 시간이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전에 사용했던
Suspense
를 사용해Suspense
로 래핑 된 요청이 모두 종료되도록 사용해 주었다.
📌 현재 코드
ItemDetailView.tsx
export default function ItemDetailView(props: Props) {
const { itemId } = props
const { itemData } = useItemDetail(itemId) 📌
const { itemInfo, hobbyName } = itemData
return (
<>
<Breadcrumb hobbyName={hobbyName} innerClassNames="mo:hidden" />
<ItemDetail itemData={itemData} />
<div
className={cn('hidden h-[8px] bg-[#EEE]', 'mo:mt-[16px] mo:block')}
/>
<ErrorHandlingWrapper
fallbackComponent={ErrorFallback}
suspenseFallback={<ReviewSectionSkeletonUI />}
>
<ReviewSection itemInfo={itemInfo} /> 📌
</ErrorHandlingWrapper>
</>
)
}
ReviewSection.tsx
export default function ReviewSection(props: PropsType) {
const { itemInfo } = props
const [showReviewModal, setShowReviewModal] = useState(false)
const [sortOption, setSortOption] = useState<SortOption>('NEWEST')
const { data, reviewList, fetchNextPage, isFetchingNextPage, hasNextPage } =
useSearchItemQuery(itemInfo.id, sortOption) 📌
return (
<article className={cn('mt-[64px]', 'mo:mt-[28px] mo:px-[16px]')}>
...
{/** 리뷰 작성 모달 */}
{showReviewModal && (
<ReviewModal
action="create"
itemData={itemInfo}
setShowReviewModal={setShowReviewModal}
/>
)}
</article>
)
}
리뷰 영역은 아이템 상세 정보 데이터 패칭이 끝나야 비로소 아이템 상세 정보에서 응답받은 정보를 활용해 리뷰 리스트 정보를 패칭하게 된다.
현재 작성한 코드의 문제점은 네트트워크 탭을 살펴보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ItemDetailView
컴포넌트에서 아이템 정보 패칭 ( useItemDetail
) 한 뒤에 ReviewSection
컴포넌트에서 리뷰 정보를 패칭 ( useSearchItemQuery
) 하고 있다. 이로인해 불필요한 시간이 지연되고 있었다.
📌 리팩터링 코드
type PropsType = {
params: { itemId: number }
}
export default function DetailPage({ params }: PropsType) {
const { itemId } = params
return (
<main className={cn('mx-auto mt-[32px] min-h-[650px] w-[720px]', 'mo:w-full')}>
<ErrorHandlingWrapper fallbackComponent={ErrorFallback} suspenseFallback={<Loading />}>
<Suspense fallback={<ItemDetailSkeleton />}>
<ItemDetailSection itemId={itemId} />
</Suspense>
<div className={cn('hidden h-[8px] bg-[#EEE]', 'mo:mt-[16px] mo:block')} />
<Suspense fallback={<ReviewSectionSkeletonUI />}>
<ReviewSection itemId={itemId} />
</Suspense>
</ErrorHandlingWrapper>
</main>
)
}
ErrorHandlingWrapper
export default function ErrorHandlingWrapper({
children,
fallbackComponent: FallbackComponent,
suspenseFallback: SuspenseFallback,
}: PropsType) {
return (
<QueryErrorResetBoundary>
{({ reset }) => (
<ErrorBoundary onReset={reset} FallbackComponent={FallbackComponent}>
<Suspense fallback={SuspenseFallback}>{children}</Suspense>
</ErrorBoundary>
)}
</QueryErrorResetBoundary>
)
}
데이터 패칭이 진행되는 두 개 ( 아이템, 리뷰 ) 의 컴포넌트를 하나의 Suspense
로 래핑 한 뒤에 각 fallback에 스켈레톤 UI를 추가해 주었다. 이로써 가장 상위에 있는 Suspense
에 의해 두 요청이 동시에 진행되게 된다.
📌 성과
이제 아이템과 리뷰의 정보를 동시에 요청 및 종료하기 때문에 기존에 각각의 영역이 개별적 ( 아이템 영역이 이후 리뷰 영역 렌더링 )으로 진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성능적인 측면에서 기존에는 순차적으로 요청이 진행되는 폭포 현상이 발생해 두 요청이 모두 종료되기까지 총 약 127 밀리초가 소모됐는데,
📌 기존
📌 리팩터링 후
리팩터링 과정에서 요청을 병렬로 처리해 가장 많은 요청 시간이 소모되는(아이템 데이터 패칭) 74 밀리초 후에 요청이 종료되고, 두 가지 요청 데이터를 렌더링 한 뒤에 화면에 노출된다.
마치며
초기에 아이템 상세 & 리뷰 페이지를 개발을 하면서 한 페이지에 많은 기능(아이템 상세 및 리뷰 정보, 찜, 삭제, 등록, 수정, 리뷰 모달 등등)이 존재했기 때문에 코드도 많고 복잡하다는 느낌을 스스로도 많이 받았다.
이번에 프로젝트를 되돌아보며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Recoil)와 Suspense
, 컴포넌트 구조 변경을 활용하면 충분히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고, 대부분 일전에 사용했던 기술이기 때문에 큰 어려움 없이 곧바로 리팩터링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지금도 고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개발을 진행할 때면 구현에만 집중해 코드의 퀄리티가 낮아질 때가 있다. 물론 당시에는 더 나은 방법을 모를 수도 있고, 빠르게 구현이 필요한 상황도 있다.
그래서 내가 내린 결론은, 상황에 맞게 행동하되 이번처럼 주기적으로 내가 작성한 코드를 되돌아보며 리팩터링 작성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내가 기술적으로 더 성장해서 이번 보다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