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blished on
React 에러 핸들링을 해보자 - ErrorBoundary
로컬(개발 환경)에서 프로젝트 진행하며 에러가 발생했을 때, 위 사진과 같이 화면이 깜깜해지며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 웹사이트가 중단되는 현상을 자주 겪었다. 주로 잘못된 코드를 입력하거나 네트워크 에러 등 다양한 상황에서 마주하게 됐었는데, 이상함을 느끼지 못했다. 그냥 에러가 발생한 줄 알았다.
아.. 뭐야 왜이래?
프로젝트가 배포된 경우(프로덕션 환경)에는 로컬과 다른 현상이 발생한다.
과거에 첫 프로젝트 데모를 진행하던 중 대여 버튼을 클릭했을 때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이 흰색 배경을 마주친 경험이 있다. 이때도 식은땀을 흘렸지만, 그냥 에러가 발생했다고 생각만 하고 넘어갔다.
로그인 버튼을 클릭했는데, 아무 변화가 없다. 개발자 도구로 확인해 본 결과 요청은 정상적으로 보내고 있었다. 알고 보니 백엔드 서버가 실행되어 있지 않았다.
생각해 보니 이상하다?
이 과정을 겪으면서도 이상함을 느끼지 못했다. 그런데 이번에 Suspense를 공부하며 ErrorBoundary 관련 내용을 알게 되었고 처음으로 이 부분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 개발 환경에서와 프로덕션 환경에서 왜 에러 발생 상황이 다를까?
- 에러 발생 시 UI 표시와 새로 고침, 재요청 등은 어떻게 하는 거지?
확인을 위해 자주 사용하는 인스타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때(네트워크, 서버 등등)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인스타 피드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끊고 이전 게시물 보기 버튼을 클릭한 결과 위 사진처럼 되었다. 네트워크를 다시 연결하고 페이지 새로 고침 버튼을 클릭하면 정상적으로 피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이러한 UI를 본 경험이 많았지만, 단순하게 새로 고침 버튼을 눌렀다. 이것이 당연한 줄 알고 있었던 것이다. 내 프로젝트는 에러가 발생했을 때 개발자인 나도 모르는 상태가 되었다. 만든 나도 모르는데, 하물며 사용자들은 더 당황스러웠을 것이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ErrorBoundary를 이용해 에러가 발생했을 때 UI로 대체하는 방법을 공부하고 프로젝트에 적용해 볼 계획이다.
📌 준비물
- TanStack Query v5
- react-error-boundary 라이브러리
- 부모 자식 구조의 컴포넌트
에러 경계(Error Boundaries)란 무엇일까?
UI의 일부분에 존재하는 자바스크립트 에러가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중단시켜서는 안 됩니다. React 사용자들이 겪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eact 16에서는 에러 경계(“error boundary”)라는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 하위 컴포넌트 트리의 어디에서든 자바스크립트 에러를 기록하며 깨진 컴포넌트 트리 대신 폴백 UI를 보여주는 React 컴포넌트이다.
- 렌더링 도중 생명주기 메서드 및 그 아래에 있는 전체 트리에서 에러를 잡아낸다.
보일러플레이트 코드
class ErrorBoundary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hasError: false };
}
static getDerivedStateFromError(error) {
// 다음 렌더링에서 폴백 UI가 보이도록 상태를 업데이트 합니다.
return { hasError: true };
}
componentDidCatch(error, errorInfo) {
// 에러 리포팅 서비스에 에러를 기록할 수도 있습니다.
logErrorToMyService(error, errorInfo);
}
render() {
if (this.state.hasError) {
// 폴백 UI를 커스텀하여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return <h1>Something went wrong.</h1>;
}
return this.props.children;
}
}
- 자식(하위) 컴포넌트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getDerivedStateFromError가 실행되고 hasError 가 true 상태로 변경한다.
- render 메서드에서 hasError를 이용한 조건 분기를 이용해 fallback UI 렌더링이 가능하다.
공식 문서에서 제공한 보일러플레이트 코드에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로 구현되어있으며, 라이프 사이클을 더 세부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아직 error-boundary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react-error-boundary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ErrorBoundary를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
📌 ErrorBoundary 라이브러리 파일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며, 기존 error-boundary와 차이점이 있는지 궁금증이 생겼다. node_modules에서 파일을 살펴보니, 생소한 내용이 많았지만 그중에서 몇몇 개의 낯익은 메서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node_modules > react-error-boundary > react-error-boundary.cjs.js
const ErrorBoundaryContext = react.createContext(null);
const initialState = {
didCatch: false,
error: null
};
class ErrorBoundary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resetErrorBoundary = this.resetErrorBoundary.bind(this);
this.state = initialState;
}
static getDerivedStateFromError(error) {
return {
didCatch: true,
error
};
}
- didCatch가 기존 hasError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resetErrorBoundary() {
const {
error
} = this.state;
if (error !== null) {
var _this$props$onReset, _this$props;
for (
var _len = arguments.length
var args = new Array(_len), _key = 0; _key < _len; _key++
) {
args[_key] = arguments[_key];
}
(_this$props$onReset =
(_this$props = this.props).onReset) === null
|| _this$props$onReset === void 0
? void 0
: _this$props$onReset.call(_this$props, {
args,
reason: "imperative-api"
});
this.setState(initialState);
}
}
componentDidUpdate(prevProps, prevState) {
const {
didCatch
} = this.state;
const {
resetKeys
} = this.props;
if (
didCatch
&& prevState.error !== null
&& hasArrayChanged(prevProps.resetKeys, resetKeys)
) {
var _this$props$onReset2, _this$props3;
(_this$props$onReset2 =
(_this$props3 = this.props).onReset) === null
|| _this$props$onReset2 === void 0
? void 0
: _this$props$onReset2.call(_this$props3, {
next: resetKeys,
prev: prevProps.resetKeys,
reason: "keys"
});
this.setState(initialState);
}
}
render() {
const {
children,
fallbackRender,
FallbackComponent,
fallback
} = this.props;
const {
didCatch,
error
} = this.state;
let childToRender = children;
if (didCatch) {
const props = {
error,
resetErrorBoundary: this.resetErrorBoundary
};
if (react.isValidElement(fallback)) {
childToRender = fallback;
} else if (typeof fallbackRender === "function") {
childToRender = fallbackRender(props);
} else if (FallbackComponent) {
childToRender = react.createElement(FallbackComponent, props);
} else {
throw error;
}
}
return react.createElement(ErrorBoundaryContext.Provider, {
value: {
didCatch,
error,
resetErrorBoundary: this.resetErrorBoundary
}
}, childToRender);
}
resetErrorBoundary
componentDidUpdate
render
에러가 포착된 경우 (didCatch가 true로 변경되면), 3개의 폴백 메커니즘 중 하나로 렌더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fallback
- fallbackRender
- FallbackComponent
ErrorBoundaryContext.Provider를 사용하여 에러 관련 상태를 컨텍스트로 제공하고, 선택된 자식 요소를 렌더링한다.
라이브러리 코드를 살펴본 뒤에 전체적인 코드를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onReset, FallbackComponent 속성의 동작원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직접 클래스형 컴포넌트로 구현할 경우 내가 원하는 데로 더 작성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현재로서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도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에 이번 프로젝트에는 라이브러리로 적용할 계획이다.
직접 적용해 보기
부모 컴포넌트
const 부모 컴포넌트 = () => {
return (
<QueryErrorResetBoundary>
{({ reset }) => (
<ErrorBoundary
onReset={reset}
FallbackComponent={ErrorFallback}
>
<자식 컴포넌트 />
</ErrorBoundary>
)}
</QueryErrorResetBoundary>
);
};
export default ProductPage;
부모 컴포넌트를 우선 살펴보면, Suspense 때와는 다르게 두 겹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ErrorBoundary 처리가 필요한 자식 컴포넌트를 자체를 props로 넘겨 children으로 사용한다.
QueryErrorResetBoundary
- 공식 문서에 따르면,
쿼리에서 suspense 또는 throwOnError를 사용할 때 오류가 발생한 후 다시 렌더링 할 때 다시 시도하고 싶다는 것을 쿼리에 알리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구성 요소를 사용하면 QueryErrorResetBoundary 구성 요소 경계 내의 모든 쿼리 오류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콜백 함수를 반환하며, reset 인자를 ErrorBoundary의 onReset 속성에 부여하면 FallbackComponent에서 렌더링 될 컴포넌트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가장 근접한 QueryErrorResetBoundary 컴포넌트 하위의 모든 오류 처리를 위임받고, 쿼리 오류를 재설정한다. (정의된 바운더리가 없다면 전역으로 재설정)
<QueryErrorResetBoundary>
{({ reset }) => ( // ⭐️ 이 부분
<ErrorBoundary
onReset={reset} // ⭐️ 이 부분
FallbackComponent={ErrorFallback}
>
<자식 컴포넌트 />
</ErrorBoundary>
)}
</QueryErrorResetBoundary>
FallbackComponent
- 에러가 발생했을 때 렌더링 될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다.
- 💡 단, ErrorFallback을 태그 형식인
<ErrorFallback>
가 아닌 ErrorFallback로 컴포넌트 명칭만 표기해야 한다.
ErrorFallback
- error, resetErrorBoundary라는 두 개의 프로퍼티를 받는다. 각각 에러 객체와 에러 처리를 재시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함수
const ErrorFallback = ({ error, resetErrorBoundary }) => {
return (
<div >
<p> 에러: {error.message} </p>
<button onClick={() => resetErrorBoundary()}> 다시 시도 </button>
</div>
);
};
export default ErrorFallback;
- onClick 이벤트로 등록된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resetErrorBoundary 함수가 실행되고 자식 컴포넌트에서 에러가 발생했던 요청을 재시도 하게 된다.
자식 컴포넌트
import { useQuery } from '@tanstack/react-query';
const ChildComponent = () => {
const fetchPokemon = async () => {
const { data } = await client.get(
'https://pokeapi.co/api/v2/pokemon/ditto'
);
console.log(data)
return data;
};
const { data } = useQuery(
{
queryKey: ['pokemon'],
queryFn: fetchPokemon,
throwOnError: true
}
);
return (
<div>
{data?.name}
</div>
);
};
export default ChildComponent;
📌 React Query 관련 주의 사항
React-Query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기존에는 useErrorBoundary 옵션을 true로 설정해 사용했으나, v5 버전에서는 throwOnError 옵션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Suspense와 함께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useQuery가 아닌 이번에 추가된 useSuspenseQuery를 사용할 수 있다. 단, useSuspenseQuery를 사용할 경우 throwOnError, suspense 옵션 사용이 불가능하다.
테스트
( 이번 테스트를 위해 오류가 발생했을 때 표시될 UI, 에러 메시지와 쿼리 재설정을 위한 버튼 제공 )
테스트를 위해 다시 시작 버튼 클릭 시 랜덤으로 URL을 설정해 요청을 보내고, 정확한 URL로 요청을 보냈을 경우 "ditto" 메시지가 출력 된다.
프로덕션 환경에서 진행되었다.
📌 유의사항
- 개발 환경에서 테스트 할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crash되며 종료된다.
🤷♂️ 개발 환경에서는 왜 crash 상태가 다르게 발생할까?
테스트를 위해 여러 시도를 거치던 중, 계속 검은 화면에 붉은 글씨로 에러가 표시되는 crash 화면으로 인해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었다. 곧바로 에러가 발생했을 때 fallback 될 컴포넌트가 아닌 crash 화면이 발생하고 창을 닫았을 때야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코드를 잘못 작성한 줄 알고 있었다.. 😭
GPT에게 문의한 결과
- 개발 환경에서는 개발자가 오류를 놓치지 않고 즉시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오류를 더 명확하게 표시한다.
-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오류 처리 메커니즘이 오류 발생 시에 사용자에게 깔끔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류를 "잠재우는" 방식으로 처리)
이외에도 핫 리로딩, 엄격 모드 등을 설명해 주고 있다. 알고 보니 개발 환경에서 오류 발생 시 더 명확하게 표시해 개발자에게 도움을 주는 고마운 역할을 하고 있었다.
마치며
react-error-boundary와 React Query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통해 기존 ErrorBoundary에 비해서 더욱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해진 것 같다. Suspense를 사용했을 때 ErrorBoundary를 다뤄보고 싶다는 생각은 했지만 개발 환경에서 발생하는 crash를 보고 잘못 구현한 줄 알고 예상보다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됐다. 또한 평소에 가볍게 사용했던 기능들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고 찾아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단순히 공부만 하는 것이 아닌, 직접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각보다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TanStack Query 기존 v4 버전에서 v5로 업그레이드에서 생각보다 많은 것들이 바뀐 것 같다.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강조하는 공식 문서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달았다.. 당장 useSuspenseQuery 옵션을 적용하려고 계속 시도했지만 결국 실패하며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었는데 알고 보니 throwOnError로 명칭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정말 많이 허탈했다.🤦♂️ 앞으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말고 공식 문서를 더 확인하도록 하자!
Reference
ErrorBoundary 가 포착할 수 없는 에러와 그 이론적 원리 분석
React error handling with react-error-boundary